[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info를 사용해서 직접 손으로 sort하고, 맞출 필요 없이 색인을 만들 수 있다. 색인 안에서, 항목들은 알파벳 순으로 열거되고,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도 함께 나온다. 인쇄된 매뉴얼의 경우, 이 정보는 페이지 번호이다. Info 파일의 경우, 이 정보는 그 항목이 첫번째로 첫번째 node로 가는 메뉴 항목이다.
Texinfo는 미리 정의된 몇가지 색인이 제공된다; 그것은 함수 색인, 변수 색인, 용어 색인 등이다. 여러개의 색인을 하나로 합치거나, 원래 목적과는 다르게 사용할 수도 있다. 하고 싶다면, 자기만의 색인을 정의할 수도 있다.
12.1 Making Index Entries | Choose different words for index entries. | |
12.2 Predefined Indices | Use different indices for different kinds of entry. | |
12.3 Defining the Entries of an Index | How to make an index entry. | |
12.4 Combining Indices | How to combine indices. | |
12.5 Defining New Indices | How to define your own indices.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색인 항목을 만들때, 사람들이 무언가를 찾는 방법이 여러가지라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좋은 연습이 된다. 각기 다른 사람들은 무언가를 찾을 때 같은 단어를 생각하지 않는다. 도움이 되는 색인은 사람들이 쓸 수 있는 모든 다른 단어들에 대해서 색인이 만들어져 있다. 예를 들어, 한 독자는 색인에서 사용하는 두글자의 이름이 “Indices, two-letter names”라고 쓰는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Index”가 더 일반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다른 독자는 두글자의 이름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을 기억해 내고, “Two letter names for Indices”라고 스여진 항목을 찾을 것이다. 좋은 색인은 이 두개의 항목이 모두 있어야 하고, 두명의 독자 모두를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typesetting과 마찬가지로, 색인을 만드는 것은 매우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예술(art)이며, 직접 하게 될때까지는 be appreciated of하지 못할 만큼 난해하다.
책의 끝에 색인을 인쇄하거나, Info 파일에서 색인 메뉴를 만드는 것에 대한 정보는 See section Index Menus and Printing an Index.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info는 6개의 색인이 이미 제공된다:
모든 매뉴얼에 이 색인들이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고, 대부분의 매뉴얼은
이중에서 두세개 정도만을 쓴다. 이 매뉴얼은 두개의 색인을 쓴다: concept
색인과 @-명령어 색인 (실제로는 위의 함수 색인이지만, 색인이 나온
앞머리에는 명령어 색인이라고 쓰여 있다). @synindex
나
@syncodeindex
명령을 쓰면,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색인을 하나로
합칠 수도 있다. See section Combining Indices.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색인을 만들 데이타는 Texinfo 소스 파일 전체에 흩어져 있는 많은 색인 명령들로 만든다. 각각의 명령은 어떤 특정 색인에 한개의 항목을 추가한다; 포맷팅 뒤에, 그 색인은 참조한 곳의 현재 페이지 수나 노드의 이름을 표시한다.
인덱스 항목은 줄이 시작할 때 색인 명령을 쓰고, 나머지 줄에 그 항목을 써서 만든다.
예를 들어, 바로 이 절은 다음 다섯개의 concept 색인으로 시작한다:
@cindex Defining indexing entries @cindex Index entries @cindex Entries for an index @cindex Specifying index entries @cindex Creating index entries |
미리 정의된 색인에는 각각의 색인 명령이 있다—concept 색인에는
@cindex
, 함수 색인에는 @findex
등이다.
concept 색인 항목은 텍스트로 되어 있다. 색인을 작성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간결하면서 명확한 항목을 결정하는 것이다. 될수 있으면, 대문자로 시작하지 않고, 문장 중간에서 튀어나온 것처럼 쓰인 항목이 더 잘보인다. (대문자로 시작해야 하는 이름과, 언제나 대문자로 써야 하는 약자의 경우에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이것이 대부분의 GNU 매뉴얼의 색인에서 쓰는 대소문자 사용 관습이다.
색인의 항목을 간결하면서도 명확하게 쓰는 법을 모르는 경우, 길면서 명확하게 쓰라—간결하지도 혼란스럽지도 않다. 많은 항목들이 여러개의 단어로 되어 있다면, 각각 다른 관습을 쓰는 것이 더 잘 보일지도 모른다: 각 항목의 첫번째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하지만 C나 Lisp 함수 이름이나 셸 명령과 같은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이름을 대문자로 시작하도록 한다면, 그것은 철자가 틀린 것이다.
어떤 대소문자 사용 원칙을 사용하든, 일관성 있게 하라!
concept 색인을 제외한 색인의 항목은 프로그래밍 언어 내의 심볼 이름이거나, 프로그램 이름이다; 이 이름들은 보통 대소문자를 구별하고, 대소문자를 필요한 만큼 쓴다.
디폴트로, concept 색인에 쓰는 색인 항목들은 작은 로만 폰트로 쓰여지고,
그 외의 색인은 작은 @code
폰트로 쓰여진다. 항목의 일부분이
인쇄되는 방법은 흔히 쓰이는 Texinfo 명령으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파일 이름에 @file
, 그리고 강조할 때는 @emph
를 쓴다
(see section Marking Words and Phrases).
여섯개의 미리 정의되어 있는 색인은:
@cindex concept
concept 색인에 concept에 대한 항목을 만든다.
@findex function
함수 색인에 function에 대한 항목을 만든다.
@vindex variable
변수 색인에 variable에 대한 항목을 만든다.
@kindex keystroke
키 색인에 keystroke에 대한 항목을 만든다.
@pindex program
프로그램 색인에 program에 대한 항목을 만든다.
@tindex data type
데이타 타입 색인에 data type에 대한 항목을 만든다.
주의: 색인에 콜론을 쓰지 말라. Info에서, 콜론은 메뉴 항목의 이름과 노드 이름을 구별하는 데 쓰인다. 콜론을 하나 더 붙인다면 Info가 혼란스러울 것이다. 메뉴 항목의 구조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는 See section The Parts of a Menu.
똑같은 색인 항목을 Texinfo 파일의 여러 곳에 쓴다면, 인쇄된 매뉴얼에서 색인은 그 항목이 참조할 모든 곳의 쪽수를 열거할 것이다. 하지만, Info 파일의 색인은 그 색인을 참조한 첫번째 노드만을 열거한다. 즉, Texinfo 파일에서 한 군데로만 참조하도록 색인을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행히도, 이 제한은 손해가 아니라 좋은 기능이다. 왜냐하면 이런 특징은 색인을 쓰기 쉽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이 기능이 아니라면, 한개 항목에 대해 여러개의 페이지를 열거하는 항목을 만들 수도 있고, 그러면 독자는 어느 페이지로 갈지 알 수 없을 것이다. 만약 한개의 주제에 대해 두개의 동일한 항목이 있다면, 그 주제를 조금 바꾸든지, 그 차이점을 표시한다.
미리 정의된 색인을 그 원래 목적대로 쓸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C 전처리
매크로 몇개에 대해 색인을 만드려고 한다고 가정하자. 그 매크로들을
@findex
명령을 써서 진짜 함수가 들어 있는 함수 색인에 넣는다; 그
다음에, 번호없는 장에 “함수 색인”을 인쇄할 때, 제목을 “함수와 매크로
색인”으로 하면, 독자에게 더 일관성 있게 보인다. 또는 매크로를 데이타
타입과 함께 @tindex
명령을 써서 집어 넣고, 적당한 제목을 붙여서
독자가 이해하도록 할 수도 있다.
(See section Index Menus and Printing an Index.)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때로는 함수와 concept같은 두개의 별개의 색인을 하나로 합치고 싶을 때도 있다. 이런 경우는 아마도 너무 색인 항목이 몇개 안 되서 별개의 색인으로 하는 게 우습게 보이는 경우일 것이다.
@cindex
명령을 @findex
명령 대신에 쓰면 함수를 concept
색인에 집어 넣을 수 있고, concept 색인에 ‘함수 색인’이라고 쓰는 대신에
대신에 ‘함수와 concept 색인’이라는 제목을 붙여서 일관성있는 매뉴얼로
만든다; 하지만, 이건 튼튼한 방법이 아니다. 이 방법은 그 문서가 별도로
함수 색인이 있는 다른 문서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만 제대로
동작한다; 만약에 이러한 문서에서 포함했다면, 포함한 문서의 함수와 포함된
문서의 함수는 한 군데 모여 있지 않을 것이다. 또, concept 색인에서는
알맞은 폰트로 나타나질 않고, 모든 색인 항목을 @code
다음에
중괄호로 둘러 싸야 한다.
12.4.1 @syncodeindex | How to merge two indices, using @code
font for the merged-from index.
| |
12.4.2 @synindex | How to merge two indices, using the default font of the merged-to index.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syncodeindex
함수와 concept 색인을 한개의 색인으로 합치고 싶을 때, 함수는
@findex
를 쓰고, concept는 @cindex
를 쓴다. 그리고
@syncodeindex
명령을 써서 함수 색인을 concept 색인쪽으로
나타나게 한다.
@syncodeindex
는 두개의 인자를 받는다; 그 인자는 흡수당하는
색인의 이름과 흡수하는 색인의 이름이다. 그 template은 다음과 같다:
@syncodeindex from to |
이런 곳에 사용하기 위해, 색이에는 두글자의 이름이 주어진다:
concept 색인
함수 색인
변수 색인
키 색인
프로그램 색인
데이타 타입 색인
Texinfo 파일이 시작할 때 end-of-header 줄 앞이나 바로 뒤에
@syncodeindex
명령을 쓴다. 예를 들어, 함수 색인과 concept
색인을 합치려면 다음과 같이 쓴다:
@syncodeindex fn cp |
이렇게 하면, 함수 색인용의 모든 항목이 대신에 concept 색인으로 들어간다.
변수 색인과 함수 색인을 모두 concept 색인에 합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이 쓴다:
@syncodeindex vr cp @syncodeindex fn cp |
@syncodeindex
명령은 ‘to’ 색인에서 디폴트로 무슨 폰트가 쓰이든
간에‘from’ 색인(redirected 색인)의 모든 항목들을 @code
폰트로
넣는다. 이런 방법으로, 함수 색인에서 함수의 이름들을 concept 색인으로
집어 넣으면, 모든 함수 이름은 기대했던 대로 @code
폰트로
인쇄된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synindex
@synindex
명령은 ‘from’ 색인 항목에 @code
폰트를 쓰지
않는 점을 빼곤 @syncodeindex
명령과 같다; 대신에 로만 폰트로
쓴다. 즉, concept 색인을 함수 색인에 합칠 때 @synindex
를 쓴다.
책의 끝에 색인을 인쇄하거나, Info 파일에 색인 메뉴를 만드는 것에 대한 정보는 See section Index Menus and Printing an Index.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미리 정의된 색인에 덧붙여, @defindex
와 @defcodeindex
명령을 써서 새로운 색인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명령은 새로운 색인
@-명령을 만들어서 그 명령으로 색인 항목을 쓴다. @defindex
명령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defindex name |
색인의 이름은 ‘au’와 같이 두글자여야 한다. 예를 들어:
@defindex au |
이렇게 하면, ‘au’ 색인이라고 하는 새로운 색인을 정의하게 된다.
동시에, 이 명령은 @auindex
라는 새로운 색인 명령을 만들어서, 이
명령으로 색인 항목을 만들 수 있다. 새로운 색인 명령은 미리 정의된 색인
명령과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은 절의 앞머리 다음에 나오는 concept 색인과 두개의 ‘au’ 색인 항목이다.
@section Cognitive Semantics @cindex kinesthetic image schemas @auindex Johnson, Mark @auindex Lakoff, George |
(결과적으로, ‘au’는 “author”의 약어로 사용된다.) Texinfo는
새로운 색인 명령을 그 색인의 이름과 ‘index’를 이어서 만들어 낸다;
즉, ‘au’ 색인을 정의하면 자도응로 @auindex
명령이 만들어
진다.
미리 정의된 색인과 마찬가지로 @printindex
명령을 써서 색인을
인쇄한다. 예를 들어:
@node Author Index, Subject Index, , Top @unnumbered Author Index @printindex au |
@defcodeindex
는 인쇄물의 경우에 항목을 로만 폰트로 쓰지 않고,
@code
폰트로 쓴다는 점을 빼곤, @defindex
명령과 같다.
즉, 그 색인은 @cindex
명령가 아니라 @findex
와 비슷한
색인이다.
새로운 색인은 Texinfo 파일의 end-of-header 줄의 내부나 바로 다음에,
@synindex
나 @syncodeindex
명령 앞에 써야 한다
(see section The Texinfo File Header).
[ <<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June 15, 2016 using texi2html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