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우리는 지금까지의 번역 프로젝트의 역사를 소개하는 것으로 GNU
gettext
안내서를 끝마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고유어 지원에 관한
연구나 읽을 거리들을 소개한다.
11.1 GNU gettext 의 역사 | ||
11.2 관계있는 읽을거리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gettext
의 역사국제화 문제와 알고리즘들은 비공식적이지만 일상적으로 GNU의 시대에서
논의되어 왔다. GNU libc
와 관련된 논의도 있었고, 아마도 앞으로
다가올 Hurd
와 관련되어 논의되기도 했고, 그 외의 경우에도 있었다
(아무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 경우에도 실제로 작업이
시작될 경우에, 이전의 논의와는 좀 무관하게 진행되었다.
모든 것은 1994년 1월에 시작되었다. 그때는 Patrick D’Cruze가 생각을
했고, GNU fileutils
의 국제화된 버전 3.9.2를 처음 만들었다. 그는
그 다음에 관리자인 Jim Meyering에게 그가 고친 사항들이 어떻게 공식
버전에 포함될 수 있을지 물었다. 그의 첫번째 시도는 #ifdef
들로
가득차 있었고, 좀 혼란스러웠으므로, Jim은 보다 나은 방법을 찾고 싶었다.
Patrick과 Jim은 이 분야에서 몇번의 시도와 실험을 함께 했다. 그리고 이
문제는 GNU에 보다 깊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Jim은 어떤 표준이
존재하는지 알고 싶어했고, Richard Stallman과 연락했다.
Richard는 매우 빠르고, 상세하게 전체 설계를 작성했고, 그
당시로서는 그 설계를 glocale
로 만드려고 했었다.
Jim은 glocale
을 구현했고, 물론 Patrick과 Richard로부터 매우 많은
피드백이 있었지만, Mitchum DSouza(catgets
와 같은 패키지를
만들었다), Roland McGrath, David MacKenzie, Fancçois Pinard, 그리고
Paul Eggert로부터도 피드백이 있었다 이 모두가 마침내 몇개의 테스트를
발표한 후에는, 여러 가지 방향으로 밀고 당겼으며 항상 호환성이 있지는
않았다. 결국 glocale
은 여러조각으로 나뉘어졌다.
Jim이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두번째 아빠가 되는 동안, Roland는
GNU libc
가 국제화되기를 바랬고, Ulrich Drepper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glocale
에서부터 시작하는 대신에,
Ulrich는 무언가를 처음부터 작성해 나갔지만, glocale
의 노력에서
나온 원칙들과는 더욱 더 맞지 않았다. 그때, Ulrich는 이전의 모임에
참여했던 사람들을 모아서 새로운 프로젝트에 뛰어들도록 만들었고,
glocale
에서 msgutils
라고 처음에 이름붙여진 패키지로
이동했다. 이 패키지는 나중에 nlsutils
로 바귀었고, 마지막으로
gettext
가 되었고, 1995년 5월 즈음에 Richard가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
1995년 4월에 Ulrich Drepper가 GNU gettext
를 작성한
것으로 요약하자. PO 모드를 포함한 이 패키지의 첫번재 발표는 1995년
6월이었고 버전은 0.7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에 참여했고
Ulrich를 중심으로 토론을 했고, 몇몇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했다.
이 사람들은 GNU gettext
배포본에포함되어 있는 THANKS
파일에 언급되어 있다.
이 작업이 진행되었지만, François는 처음에 몇몇 GNU 패키지들을
glocale
에 맞도록 만들었고, 그 다음에는 gettext
에 맞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테스트를 위해 발표했고, 이 작업은 이 도구들을 어떻게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그는 또한
번역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조율하는 의무를 떠맡았다. 약 1년 후에 많은
국가들로부터 사람들 사이에 비공식적인 의견교환이 있었고, 1995년 5월에는,
Patrick D’Cruze가 각 번역팀을 위한 12개의 unmoderated 메일링 리스트와
2개의 moderated 메일링 리스트를 지원하면서 번역 팀이 시작되었다: 두개중
한개는 모든 번역 팀을 한꺼번에 접근할 수 있는 리스트이고, 다른 하나는
국제화된 공개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관리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리스트이다.
François는 1995년 6월에 Greg McGary의 도움으로 PO 모드를 작성해서
Ulrich의 패키지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GNU gettext
Texinfo
안내서를 작성하는 일도 했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Eugene H. Dorr(‘dorre@well.com’)는 국제화에 관련된 재미있는 참고자료 리스트를 관리하고 있다. 이 자료는 Internationalized Reference List라고 하고, 다음에서 구할 수 있다:
ftp://ftp.ora.com/pub/examples/nutshell/ujip/doc/i18n-books.txt |
Michael Gschwind(‘mike@vlsivie.tuwien.ac.at’)는 Programming for Internationalization이라는 제목의 자주 물어보는 질문들(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을 메인테인하고 있다. 이 FAQ는 어떻게 여러 가지 언어의 관습, 문자셋 등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지에 대해 설명해 놓았다; 그리고 이 문서는 특히 ISO 8859-1에 초점을 맞추었고, 어떠한 문자 셋 인코딩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문서는 ‘comp.unix.questions’, ‘comp.std.internat’, ‘comp.software.international’, ‘comp.lang.c’, ‘comp.windows.x’, ‘comp.std.c’, ‘comp.answers’ 그리고 ‘news.answers’ 유즈넷 그룹에 정기적으로 발표된다. 이 문서의 원출처는:
ftp://ftp.vlsivie.tuwien.ac.at/pub/8bit/ISO-programming |
Patrick D’Cruze(‘pdcruze@li.org’)는 고유어 지원에 대한 튜토리얼을 작성했고, Jochen Hein(‘Hein@student.tu-clausthal.de’)이 이 문서를 메인테인하고 있다. 이 문서는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ftp://sunsite.unc.edu/pub/Linux/utils/nls/catalogs/Incoming/... ...locale-tutorial-0.8.txt.gz |
이 사이트는 다음에 미러된다:
ftp://ftp.ibp.fr/pub/linux/sunsite/ |
이 튜토리얼의 프랑스어 버전은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ftp://ftp.ibp.fr/pub/linux/french/docs/ |
여기에는 여러 가지 리눅스 관련 문서의 프랑스어 번역도 많이 있다.
[ <<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June 15, 2016 using texi2html 1.82.